청소년 우울증은 성인 우울증과 크게 다르지 않음. 대부분 성적, 친구, 가족 문제
우울증 상승에 비해 치료 받는 사람이 적음. 정신과 전문의에 따르면 우울증을 좀처럼 ‘병’으로 인정하지 않는 사회전반의 분위기가 우울증 방치에 한몫
<대한신경과학회> 코로나 후 세계 각국 우울증 및 불안증 2배 증가 한국 우울증 유병률 1위(36.8%) 한국 국민 10명 중 4명 우울증 및 우울감 한국은 세계에서 우울증 치료 가장 어려운 나라
2002년 3월 정부가 고시한 안전한 SSRI 항우울제의 60일 처방 제한 규제 때문에 전체의사의 96%에 해당하는 비정신과의사 갑자기 우울증 치료 못하게 되었고 그 후 자살률 급격 증가, 한국 자살률 우울증 OECD 1위
항우울제 60일 처방 제한은 과학적, 의학적 근거 없는 엉터리 규제
우울증 환자들이 치료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100% -> 4% 우울증 유병률 OECD 1위 인데 우울증 치료 접근성은 외국의 1/20로 세계 최저
세계 36개 국가들 조사 결과 그 어느나라도 비정신과 의사들에게 안전한 SSRI 항우울제 처방 제한 하지 않고 모든나라에서 의대 졸업하고 의사 시험 합격한 의사는 제한 없이 처방 가능.미국의 많은 주들은 간호사도 처방 가능. 외국 의사들은 한국의 항우울제 처방제한 상황에 대해 매우 크게 걱정하고 놀라고 있음
<홍승봉 대한우울자살예방학회 초대회장> 한국의 중등도,심한,매우심한 우울증 치료율은 11.2%에 불과한 반면 미국의 우울증 치료율은 66.3%.
이것이 총기소유가 자유로운 미국의 자살률이 한국보다 훨씬 낮은 주요 이유<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실험 약물 및 진단센터 연구팀>
5400여명 미국성인 대상/ 1년동안 SNS의 사용과 우울증 발생 연구 진행 연구시작 시점 : 대상자들 중에는 가벼운 우울증 보이지 않음 12개월 결과 : 일부 대상자 심한 우울증
<연구팀의 로이 펄리스 박사> 소셜 미디어가 실제로 우울증을 유발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있는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또 하나는 소셜 미디어가 실제로 그 위험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
소셜 미디어 사용과 우울증 위험 간에 구체적인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로서는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와 정신건강 사이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